-
부동산 개념: 아파트 재건축 vs 리모델링 vs 재개발
재개발 예정지 구성남 재개발 도시정비사업으로 기반 시설이 열악하거나 노후, 불량 건축물들이 밀집한 지역에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하는 사업이 재개발입니다. 재개발은 기존의 부동산을 전부 허물고 새로운 부동산을 만들기 때문에 기존 주택에 대한 권리는 모두 소멸됩니다. 대신 새로운 부동산에 대한 권리를 분배 받게 됩니다. 재개발 사업의 경우 공시시가 기준으로 보상금이 결정되기때문에 실제 주택 가격보다 저렴하게 보상되는 경우가 많아서 주민들의 반대가 많은 경우가 있으며 재개발이 추진 되다가도 사업성이 부진하다는 이유로 백지화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재건축 추진 중인 은마아파트 아파트 재건축 도로, 상하수도같은 정비시설을 양호하지만 노후되거나 불량 건축물들이 밀집한 지역이나 공통주택을 철거하고 새로운 주택을 건설하는 것이 재건축입니다. 안전진단 D등급을 받아야 재건축 추진이 가능하며, 초과이익환수제가 적용됩니다. 리모델링사업에 성공한 개포 우성 9단지 아파트 리모델링…
-
부동산 개념: 아파트 대지 지분 계산 방법 (Feat. 3.3)
이매촌 7단지 성지 아파트 아파트 대지 지분이란? 재건축시 아주 중요한 대지 지분! 쉽게말해서 내가 소유한 땅의 넓이가 크다는 뜻인데요. 재건축을 하는 경우 사업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척도 중에 하나 랍니다. 다수의 세대가 있는 공동주택의 경우 세대수에 따라 대지지분이 결정되기에 아파트의 평균이 아닌 개별 가구에 따라 계산이 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형평형보다는 대형평형이 많이 있는 곳이 대지지분이 높게 나올 수 밖에 없고, 여러 평형이 섞여 있는 경우에 당연하게도 대형평형의 대지지분이 더 좋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어요. 그런 의미에서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가 재건축이 된다고 했을 때, 또는 부동산 투자를 할 때에도 간단한 계산 방법만 알고 있다면 이 후의 계획을 세우는데 반드시 도움이 될 거예요! 대지 지분 계산 방법 아파트…
-
부동산 정책: 재건축 초과 이익 환수제의 뜻과 목적, 문제점, 4가지의 완화정책
재건축 초과 이익 환수제의 뜻 재건축 초과 이익 환수제란 흔히 재초환이라고 줄여서 부르는 정책인데 재건축 추진 위원회 설립 승인일로부터 재건축 준공 때까지 조합원 1인당 평균 이익이 3,000만 원을 넘는 경우 초과 금액의 10~50%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2006년 9월 시행됐으나 여러 이유로 2012년 12월~ 2014년 12월까지 2년간 유예 되었으며, 다시 2017년 12월까지 3년간 추가 유예 되었습니다. 이후 추가 유예 기간 없이 2018년부터 다시 시행되었습니다. 재건축 초과 이익 환수제의 목적 초기의 재초환은 도시의 균형 발전과 난 개발 방지, 투기 억제, 주택의 가격 안정화를 목적으로 도입한 제도입니다. 초과 이익에 대한 부과 기준 2018년 1월 2일 이후 관리 처분 인가를 신청하는 재건축 조합(재개발, 리모델링 제외)이며, 초과 이익은 사업 기간 중 오른 집값에서 해당 시군구 평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