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in, locomotive, railroad-143847.jpg
부동산 정책

부동산 정책: GTX 노선 총정리 (A, B, C, D의 모든 것)

GTX-A, B, C, D 노선도

GTX란?

GTX란 수도권 주요 지점을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 사업입니다.

GTX-A, B, C, D 모든 노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활발하게 진행 중인 노선도 있고,

아직 연구중인 노선도 있네요.

GTX노선이 모두 개통되면,

서울에서는 정말 정신 차리고 지하철 타지 않으면

완전히 다른 곳으로 가버릴 것 같네요..!

GTX-A 노선도

GTX-A

GTX노선 중 가장 빨리 진행되고 있는 노선입니다.

파주 운정에서 동탄까지 잇는 노선입니다.

처음에는 2018년 말 착공, 2023년 개통을 예정했었습니다.

하지만 공사 추진이 늦어지면서

수서~동탄구간 개통을 24년 상반지로 계획했으나,

그 역시 이뤄지기 힘들게 되었습니다.

올해 초 국토교통부는 GTX-A노선을 내년 상반기부터

순차 개통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2024년 상반기에는 수서~동탄,

운정~서울역 구간을 개통하고

2025년 창릉역과 삼성역 무정차를 전제로

전 구간을 개통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창릉역은 2026년, 삼성역은 2028년 개통을 앞두고 있습니다. 

GTX-B 노선도

GTX-B

GTX-B는 송도에서 마석까지 이어지는 노선입니다.

22년 착공 예정이였으나,

일부 구간을 민간자본으로 투입하기로 하여

2023년으로 연기되었습니다.

전체 82.7km 가운데 민자 구간이 62.8km이고,

나머지 구간(용산역~상봉역) 19.95km만

재정사업으로 추진됩니다.

해당 구간은 수익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추정되면서 선뜻 나서는 사업자가 없었습니다.

국토부도 이를 염두해 사업 추진 방식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최종적으로 A노선 같은 재정/민자 분리한

BTO방식으로 결정했습니다.

인천~용산, 서울역, 청량리를 거쳐 마석까지

수도권 동서를 횡당 하는 급행철도의 중요도를

언급하며 국토부도 참여할 만큼 여러 사업자들의

사업일정 조율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GTX-C 노선도

GTX-C

GTX-C가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반영된 지

12년 만인 올해 드디어 첫 삽을 뜰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국토부는 GTX-C보선을 민간투자사업실시협약을 맺었고,

2021년 6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지 2년 만에 이뤄졌습니다.

당초 대상자 선정 직후 맺으려던 협약은

도봉 구간 지하화와 은마아파트 지화 통과를

둘러싼 논란으로 미뤄졌었습니다.

GTX-C노선은 경기도 양주 덕정역에서 수원역까지

총 86.46km에 14개 정거장이 있는 노선입니다.

연내 착공해 28년 개통 목표하고 있습니다.

GTX-C 반대 현수막, 은마아파트
GTX-C 은마아파트 위치
GTX-D 노선도

GTX-D

GTX-D Y자 등 수도권광역급행철도 확충하는

연구 용역을 6개월 연장해 올해 말 준공할 계획입니다.

GTX-D Y자 노선은 영종(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해

청라/가정을 거쳐, 김포/검단/계양에서 오는 노선과

부천종합운동장에서 만나 서울 강남을 연결하는 노선입니다.

인천시가 2020년 GTX-D Y자 노선을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정부는

GTX-D Y자 노선이 아닌 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 노선을 제안했습니다.

이후 20대 대통령선거에서 유력 후보들이 GTX-D Y자 부활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윤석열 대통령 당선 후 조속히 추진하라는

지시와 함께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이에 올해 6월 말 연구 용역이 준공될 예정이었으나

해당 연구 용역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해

연구 용역 준공이 올해 12월로 변경되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을 기사


GTX-A 개통 기사

함께 보면 좋을 글


메가 시티 서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cannot copy content of this page